MySQL 바이너리 로그
MySQL에는 바이너리 로그라는 것이 존재한다. 바이너리 로그에는 MySQL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생성, 변경 작업, 데이터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이벤트’가 저장되어 있다. 단, SELECT 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지 않는 명령에 대한 이벤트는 저장하지 않는다.
이 바이너리 로그는 크게 두 가지로 활용된다. 첫번째는 데이터베이스 복구이다. 말했듯, 바이너리 로그에는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는 모든 이벤트가 저장되어있어 데이터베이스를 특정 시점으로 복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두번째로는 데이터베이스 레플리케이션이다. 이전 MySQL 8.0의 레플리케이션 아키텍처와 복제 타입 포스팅에서도 다룬바 있는데, 레플리카가 소스의 바이너리 로그를 읽어가 레플리카에 릴레이 로그로 저장한다음 복제가 진행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활용 방법에 대해 다룬다.
PIT(Point-In-Time) 복구
MySQL 바이너리 로그를 활용하여 특정 시점으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이를 PIT 복구라고 한다. 이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복구 상황 상정
CREATE DATABASE sample_database;
USE sample_database;
CREATE TABLE sample_table(
id BIG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
text VARCHAR(255) not null
);
INSERT INTO sample_table(text)
VALUES
('lost data 1'),
('lost data 2'),
('lost data 3'),
('lost data 4');
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넣어주었다. 서비스 중 개발자 실수로 TRUNCATE 를 실행해 데이터를 몽땅 날렸다고 가정하자.
TRUNCATE TABLE sample_table; # 🙀
바이너리 로그 확인
이제 복구를 시작하자. 우선, 아래 쿼리로 바이너리 로그 목록을 조회해보자.
SHOW BINARY LOGS;
아래 사진과 같이 바이너리 로그 파일 이름이 출력될 것이다.
+---------------+-----------+-----------+
| Log_name | File_size | Encrypted |
+---------------+-----------+-----------+
| binlog.000001 | 3001484 | No |
| binlog.000002 | 1254 | No |
+---------------+-----------+-----------+
이제 아래 쿼리를 사용하여, 현재 작성중인 바이너리 로그 파일을 닫고 새로운 바이너리 로그 파일을 열자. 즉, 위 사진 기준으로 binlog.000002
파일을 닫고, binlog.000003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복구 시점을 확실히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FLUSH LOGS;
다시 SHOW BINARY LOGS;
를 실행해보면, 바이너리 로그 파일 목록에 binlog.000003
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너리 로그를 텍스트로 변환
바이너리 로그는 이름 그대로 이벤트 정보를 이진 데이터로 저장한다. 따라서 그냥 파일을 열게되면 우리가 읽을 수 없다. 이를 텍스트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틸리티가 mysqlbinlog 이다. mysqlbinlog 는 MySQL 에서 기본 제공되므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바이너리 로그의 일반적인 저장 경로는 /var/lib/mysql
이다. 아래 명령을 통해 단일 바이너리 로그 파일을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표준 출력을 파일로 리다이렉트할 수 있다.
mysqlbinlog /var/lib/mysql/binlog.000001 > binlog.000001.sql
또는 아래와 같이 와일드카드를 사용하여 모든 바이너리 로그를 단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mysqlbinlog /var/lib/mysql/binlog.0* > binlog.sql
하지만 우리는 binlog.000003
은 필요하지 않으니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자. 아래의 방법처럼 여러 바이너리 로그를 전달하여 하나의 바이너리 로그로 만드는 방법도 있다.
mysqlbinlog /var/lib/mysql/binlog.000001 /var/lib/mysql/binlog.000002 > recover.sql
복구 시작
자, 이제 이 파일을 vim 으로 열어 문제의 TRUNCATE 쿼리를 없앤 다음, 바이너리 로그에 저장된 쿼리를 처음부터 다시 실행할 것이다. 방금 mysqlbinlog 를 사용하여 생성한 recover.sql
을 vim으로 열어보자.
vim recover.sql
vim의 일반 모드에서 Shift + G를 누르면, 파일의 최하단으로 커서를 옮길 수 있다.
문제의 TRUNCATE 쿼리가 보인다. 이를 #
또는 /* */
를 사용하여 주석 처리 하자. 그리고 파일을 저장한다. 이제 이 SQL 파일을 다시 MySQL에서 실행하는 일만 남았다.
mysql -u 유저이름 -p -f < recover.sql
위와 같이 다시 파일을 mysql 명령의 표준 입력으로 리다이렉트하여 SQL문을 실행할 것이다. 바이너리 로그에는 CREATE DATABASE
, CREATE TABLE
과 같은 명령도 함께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실행하면 이미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이 존재한다는 에러가 발생하고, 이어서 쿼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f
옵션을 붙여준다.
복구 완료
SELECT * FROM sample_table;
+----+-------------+
| id | text |
+----+-------------+
| 1 | lost data 1 |
| 2 | lost data 2 |
| 3 | lost data 3 |
| 4 | lost data 4 |
+----+-------------+
잃어버린 데이터가 복구 되었다 🎉
마치며
이 방법은 바이너리 로그가 삭제되지 않은 시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바이너리 로그는 서버 용량을 차지하므로, 일반적으로 일정 주기가 지나면 삭제하도록 설정해둘 것이다. 따라서 mysqldump 등의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적절한 주기로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바이너리 로그를 사용한 복구는 데이터베이스 백업 시점과 사고가 발생한 시점 사이에 유실된 데이터를 복구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그런데 이 모든걸 어떻게 알고 있냐고? 나도 알고 싶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