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6 문법으로 다시 시작하는 자바스크립트

@Hudi · July 05, 2018 · 12 min read

이전 블로그 (https://hudi.kr) 에서 이전해온 글 입니다.

thumb

ES6 (=ECMAScript 2015) 가 발표된지도 어언 3년이 다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미 구세대의 기술이 되어버린 Jquery 와 ES5는 아직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자바스크립트 생태계는 Angular, React, Vue 등의 최신 기술이 등장하고, 끊임없이 개선되고, 변화되고 있다. 그리고 그 생태계의 중심은 ES6 (혹은 그 이상 버전) 이다.

아마, React 와 같은 최신 기술을 공부하려다 ES6 라는 벽이 낯설어 선뜻 도전해보지 못한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문서는 같은 동작을 하는 ES5와 ES6의 소스코드에서 문법을 비교하며, 모던 자바스크립트 입문자에게 도움을 드리고자한다. 한 문서에서 모든 내용을 다룰 수 없기에, 자주 사용되는 핵심 내용을 서술한다. 그래도 ES6의 여러 내용을 다루기에 깊이 있게 다루지는 않지만, 모던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새로운 변수 선언 키워드, let과 const

ES6 이전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var 키워드를 통해 변수를 선언했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function scope 이다. 변수의 범위가 함수 전체에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ES6 에서는 letconst 키워드가 새로 등장한다. 각각 변수와 상수를 선언할때 사용한다. let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block scope 를 갖게 된다. Block scope 는 중괄호 ({ }) 를 기준으로 유효범위를 갖는다. 일단 Scope 에 대한 차이점을 살펴보자.

ES5

function foo() {
  if (true) {
    var a = "bar"
  }

  console.log(a)
}

foo()
// bar

정상적으로 bar 이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변수 afoo 함수에서 전역으로 영향력을 갖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if 문의 scope 안에서 선언된 변수도 밖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ES6

function foo() {
  if (true) {
    let a = "bar"
  }

  console.log(a)
}

foo()
// Uncaught ReferenceError: a is not defined

하지만 let 으로 선언한 변수는 if문의 scope 내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해당 scope 밖에서 a 에 접근할때, 오류가 발생한다.

const 키워드로는 상수를 선언할 수 있다. 값이 변하지 않음을 확신할 수 있는 변수는 const 로 선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t foo = 1
foo = 2
// Good

const bar = 1
bar = 2
//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let 으로 선언된 변수는 오류가 없지만, const 로 선언된 상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한다.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ES6 이전에 함수를 선언하기 위해서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했다. ES6 부터는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문법을 지원한다.

ES5

var a = function () {
  console.log("function")
}
a()

ES6

const a = () => {
  console.log("arrow function")
}
a()

기본적으로 화살표 함수는 기존 function 키워드의 축약형이다.

ES6

const print = text => {
  console.log(text)
}
// 파라미터가 1개일땐 괄호 생략 가능

const sum = (a, b) => a + b
// 간단한 표현식만을 반환 할때는 return 생략 가능

파라미터를 1개만 받을 때는 괄호를 생략할 수 있고, 간단한 표현식을 반환할때는 괄호와 return 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런 간단한 기능도 있지만, function 키워드와 가장 큰 차이점은 this 의 바인딩 여부이다.

this 를 바인딩 하지 않는다

ES5

function Foo() {
  this.func1 = function () {
    console.log(this)
    // this === Foo
  }

  this.func2 = function () {
    var func3 = function () {
      console.log(this)
      // this === Window (global)
    }
    func3()
  }
}

var foo = new Foo()
foo.func1()
foo.func2()

자바스크립트에서의 this 개념은 개발자를 혼란스럽게 한다. 다른 객체지향 언어와 달리 this 가 함수 실행 문맥 (Context) 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위 코드에서 func1 가 실행될때는 메소드 실행 문맥 이기 때문에, thisFoo 이지만 , func2 를 보면, 새로 선언된 func3 함수의 실행은 함수 실행 문맥 이기 때문에 thisWindow 객체, 즉 전역 객체가 할당된다.

화살표 함수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통 that 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새로운 this 가 바인딩 되기전 this 를 할당시켰다.

...

this.func2 = function() {
  var that = this;
  //...뭔가 좀 이상하다

  var func3 = function() {
    console.log(that);
    // that === Foo
  }
  func3();
}

...

이런 헷갈리는 this 의 개념은 직관적이지 못하고, 불편했다. 화살표함수는 새로운 this 를 바인딩 하지 않아 다음과 같이 작성해도 올바르게 작동한다.

ES6

function Foo() {
  this.func1 = function () {
    console.log(this)
    // this === Foo
  }

  this.func2 = function () {
    var func3 = () => {
      console.log(this)
      // this === Foo
    }
    func3()
  }
}

var foo = new Foo()
foo.func1()
foo.func2()

this 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켜, 코드가 조금 더 깔끔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템플릿 리터럴 (Template literal)

ES6 에서 새롭게 도입된 문자열 표기법이다.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와 문자열을 같이 보여주기 위해서는 문자 결합 연산자인 + 를 사용했다. 아래의 코드를 보자.

ES5

var name = "Hudi"
var job = "developer"

console.log("제 이름은 " + name + " 이고, 직업은 " + job + " 입니다.")
//제 이름은 Hudi 이고, 직업은 developer 입니다.

가독성이 매우 떨어지며, 실수가 발생하기 쉬운 형태이다.

ES6 의 템플릿 리터럴을 사용하면 어떻게 표현될까? ES5 에서 문자열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 (작은 따옴표) 혹은 " (큰 따옴표)로 문자열을 감싸주었다. 템플릿 리터럴은 ` (백틱) 을 사용해 문자열을 감싼다. 특이점은 변수도 포함해서 같이 감쌀 수 있다는 것이다.

ES6

const name = "Hudi"
const job = "developer"

console.log(`제 이름은 ${name} 이고, 직업은 ${job} 입니다.`)
//제 이름은 Hudi 이고, 직업은 developer 입니다.

백틱 로 문자열을 감싸고 그 사이에 ${변수명} 으로 표현해주면, 해당 변수의 값이 그대로 다른 문자열과 같이 출력된다. 템플릿 리터럴은 일반 문자열 리터럴과 다르게 공백과 개행을 그대로 표현해준다.

const name = "Hudi"
const job = "developer"

const msg = `제 이름은 ${name} 이고
직업은 ${job} 입니다.`

console.log(msg)
/*
  제 이름은 Hudi 이고
  직업은 developer 입니다.
*/

더 이상 +, \n, \t 등을 사용하여 복잡한 문자열을 표현할 필요가 없다.

비구조화 할당 (destructuring assignment)

비구조화 할당 (번역에 따라 구조분해 할당이라고도 한다) 은 객체안의 필드를 손쉽게 꺼내어 변수로 대입할 수 있는 문법이다. ES6 이전의 문법으로 객체의 필드를 꺼내어 새로운 변수에 대입하려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ES5

var hudi = {
  name: "조동현",
  job: "developer",
  skills: ["ES6", "React", "node.js"],
}

var name = hudi.name
var job = hudi.job

console.log(name, job) // 조동현 developer

새로운 name, job 두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 표현법 (dot notation) 으로 객체의 필드에 직접 접근하여 값을 가져온다. ES6 에서는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ES6

const hudi = {
  name: "조동현",
  job: "developer",
  skills: ["ES6", "React", "node.js"],
}

let { name, job } = hudi
//비구조화 할당

console.log(name, job) // 조동현 developer

조금 낯선 문법이 보인다. 변수 선언시에 { } 를 사용한다. 해당 코드는 hudi의 name, job 필드를 같은 이름을 가진 변수에 바로 대입을 해준다.

객체를 비구조화한 후 함수의 인자로 넘길 수도 있다.

const hudi = {
  name: "조동현",
  job: "developer",
  skills: ["ES6", "React", "node.js"],
}

function printSkills({ skills }) {
  skills.map(skill => {
    console.log(skill)
  })
}

printSkills(hudi)
/*
  ES6
  React
  node.js
*/

printSkills 함수가 받는 인자가 중괄호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이는가? 어떤 객체를 넣어주면, 해당 객체를 분해하여 skills 필드만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열에서도 비구조화 할당을 사용할 수 있다.

const languages = ["Javascript", "Python", "Java", "C#"]
const [first, second, third] = languages

console.log(first, second, third)
//Javascript Python Java

이렇게 객체 혹은 배열을 분해하여 필요한 필드만 추출하여, 별개의 변수로 대입하는 방식이 비구조화 할당 이다.

향상된 객체 리터럴 (enhanced object literals)

ES6 에서는 다음과 같이 객체의 리터럴이 개선되었다.

단축된 프로퍼티 초기화

기존 ES5 에서 객체를 생성할 때, 필드명과 대입할 변수명이 같은 상황에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였다.

ES5

var name = "조동현"
var job = "developer"

var hudi = {
  name: name,
  job: job,
}

console.log(hudi)
// {name: "조동현", job: "developer"}

ES6 에서는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ES6

const name = "조동현"
const job = "developer"

const hudi = {
  name,
  job,
}

console.log(hudi)
// {name: "조동현", job: "developer"}

key: value 형태에서 단순히 변수명만 작성해주면 변수명과 동일한 필드가 생성되며, 그 변수값이 대입된다.

간결한 메서드

ES6 에서는 더 이상 객체 메서드를 정의하기 위해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일단 ES5 문법으로 객체 메서드를 정의해보자.

ES5

var person = {
  name: "조동현",
  getName: function () {
    return this.name
  },
}

console.log(person.getName())
//조동현

ES5에서는 foo: function(...) { ... } 형태로 객체 메서드를 정의해야 한다. ES6 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객체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을까?

ES6

const person = {
  name: "조동현",
  getName() {
    return this.name
  },
}

console.log(person.getName())
//조동현

function 키워드가 없어지고, 더욱 간결한 문법을 확인할 수 있다. ES6 에서는 이와 같이 개선된 객체 리터럴을 사용할 수 있다.

전개 연산자 (spread operator)

전개 연산자는 점 세개 (...) 로 이루어져 있는 연산자이며, 여러가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배열의 내용 조합

ES5 에서는 여러 배열의 내용을 합쳐 새로운 배열을 만들기 위해 concat 메서드를 사용한다.

ES5

var a = [1, 2, 3]
var b = [3, 4]
var c = "끝"

var d = a.concat(b, c)

console.log(d)
//[1, 2, 3, 3, 4, "끝"]

a 배열에서 concat 메서드를 사용해서, 배열 b와 문자열 c를 배열에 이어붙였다. ES6 에서는 전개 연산자를 사용해서 직관적이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ES6

const a = [1, 2, 3]
const b = [3, 4]
const c = "끝"

const d = [...a, ...b, c]

console.log(d)
//[1, 2, 3, 3, 4, "끝"]

a 의 모든요소 ...ab 의 모든요소 ...b 그리고 c 를 넣어 새로운 배열 d 를 만든 모습이다. concat 을 사용한 코드보다 훨씬 간결하고, 가독성도 개선되었다.

언제 전개 연산자를 사용할까?

배열은 push, reverse 와 같은 여러가지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메서드들은 기존 배열을 바꿔버리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ES5

var a = [1, 2, 3, 4, 5]
a.reverse()
//배열 요소의 순서를 역순으로 바꾼다.

console.log(a)
//[5,4,3,2,1]

원본 배열을 수정할 의도였다면 문제있는 코드는 아니지만, 원본 배열은 그대로 두고 배열 요소의 순서를 뒤집은 새로운 배열을 또 하나 만들고 싶다면, 상황이 복잡해진다. 이 상황에서 전개 연산자를 사용한다면 편리해진다.

ES6

const a = [1, 2, 3, 4, 5]
const b = [...a].reverse()

console.log(`a: ${a}\nb: ${b}`)
/*
  a: 1,2,3,4,5
  b: 5,4,3,2,1
*/

이렇게 전개 연산자를 사용해 배열 요소를 복사했기 때문에 원본 배열 a 은 변경하지 않으며, a 를 이용한 새로운 배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비구조화 할당과 전개 연산자를 사용하여, 배열의 나머지 요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const a = [1, 2, 3, 4, 5, 6]
let [first, second, ...rest] = a

console.log(first, second, rest)
// 1 2 [3, 4, 5, 6]

변수 first, second 에는 각각 1과 2가 대입되고, rest 에는 첫번째, 두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로 구성된 [3, 4, 5, 6] 가 대입된다. 여기서 ...restRest Element 라고 부른다.

이것 외로도 React 등에서 불변함 (Immutable) 함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면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클래스의 등장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는 프로토타입이 기반이다. 공식적으로 클래스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함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정의했다. 그리고 객체의 메서드를 정의할때는 prototype 안에 직접 정의해준다.

ES5

function Person(name, job) {
  this.name = name
  this.job = job
}

Person.prototype.print = function () {
  console.log(this.job + " 직업을 가지고 있는 " + this.name + "씨")
}

var donghyun = new Person("조동현", "프론트엔드 개발자")

donghyun.print()
//프론트엔드 개발자 직업을 가지고 있는 조동현씨

프로토타입 방식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다루는 것은 일반적인 객체지향 언어에 익숙한 개발자들에겐 낯설고 불편한 방식일 것이다. ES6 에서는 Class 문법을 만들어 이런 요구를 반영했다.

ES6

class Person {
  constructor(name, job) {
    this.name = name
    this.job = job
  }

  print() {
    console.log(this.job + " 직업을 가지고 있는 " + this.name + "씨")
  }
}

const donghyun = new Person("조동현", "프론트엔드 개발자")

donghyun.print()
//프론트엔드 개발자 직업을 가지고 있는 조동현씨

더 익숙한 형태로 클래스와 그 안의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모델이 바뀐 것은 아니며, 내부에서는 그대로 프로토타입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렇게 내부 동작은 동일하지만, 구현 방식에 맞춘 새로운 문법을 문법적 설탕 (Syntactic sugar) 라고 한다.

기본 파라미터 (Default Parameter)

드디어 자바스크립트에서도 함수의 기본 파라미터 값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ES6 이전에서는 파라미터의 값이 들어오지 않으면 무조건 undefined 가 됐지만, ES6 부터 그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ES5

function foo(a, b, c) {
  console.log(a, b, c)
}

foo("a")
//a undefined undefined

파라미터 a 의 값은 들어왔지만, bc 는 값을 할당받지 못해 undefined 가 된 모습이다. 기본값을 설정하기 위해 파라미터가 undefined 인지 일일히 체크하고, 값을 할당해줘야 했다.

ES6

function foo(a, b = "b", c = "c") {
  console.log(a, b, c)
}

foo("a")
//a b c

편하게 기본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왜 이런 기본적인 문법이 ES6 에서야 추가된지 모르겠다.

모듈

기존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모듈화를 통한 분리가 불가능했다. 하지만, ES6 에서는 드디어 exportimport 키워드로 모듈화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CommonJS, RequireJS 에 대해 이야기가 많지만 이 글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node.js 는 기본적으로 ES6와 다른 CommonJS 방식을 사용한다.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모듈화를 하였을때, 각 파일은 각자의 스코프를 갖게 된다. 다른파일에서 어떤 객체에 접근하고 싶다면, export 를 통해 외부에 공개한다. Export 하는 방법도 크게 두가지가 있다.

Named Export

이름을 지정해서 export 하는 방법이다. import 할때도 해당 이름을 사용하여 불러온다.

초기화와 동시에 export

export const someConst = 5
export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별다른 코드 없이 초기화와 동시에 해당 객체를 export 한다.

선언된 객체의 export

const someConst = 5
const sum = function (a, b) {
  return a + b
}

export { someConst, sum }

또한 객체나 함수를 중괄호 로 묶어 한번에 export 해줄 수 있다.

별명 지정

원래 존재하는 변수를 다른 이름으로 export 할 수 있다.

const thisConstHasVeryLongName = 5
export { thisConstHasVeryLongName as five }

thisConstHasVeryLongName 상수는 five 라는 이름으로 export 된다.

다른 모듈의 객체 Export

export { name1, name2 } from "./path/of/module"

다른 모듈에서 import 해옴과 동시에 export 해버리는 방식이다. 그다지 자주 사용되진 않지만, 여러 모듈을 한 파일로 번들링 할때 사용된다.

Default Export

모듈 당 단 한번 만 할 수 있는 Export 이다. Named Export 는 import 할때도 이름을 지정해야하지만, default 로 export 해준 값은 간단하게 import 할 수 있다. 어떻게 import 하는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export default someConst;
export default function () {...}

Named Export 와 다르게, 초기화와 동시에 Export 는 불가능하고, 미리 선언된 변수, 함수, 익명함수 따위를 Export 할 수 있다.

export { someObj as default, name1, name2, name3 ... }

그리고 위와 같이 as default 를 사용하여, default export 가 아닌 다른값과 함께 export 할 수 있다.

export 하는 방법을 배웠으니 import 하는 방법도 알아야한다.

Import

import 코드를 실행해 모듈을 불러오는 파일은 index.js 라고 가정한다.

import { name1, name2 } from "./module.js"

Named Export 방식으로 export 된 모듈을 불러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module.js 에서 export 된 name1name2index.js 의 동일한 변수에 할당다.

import { name1 as newName1 } from "./module.js"

export ... as ... 처럼 import 할때도 별명을 설정해 줄 수 있다. module.jsname1 의 값이 index.jsnewName1 에 할당된다.

import * as module from "./module.js"
module.name1

module.js 에서 export 된 모든 멤버들을 module 이라는 변수의 하위 멤버로 바인딩한다. . 표현법으로 module.js 의 모든 멤버에 접근할 수 있다.

import defaultMember from "./module.js"

export default ... 으로 export 된 멤버를 defaultMember 에 할당한다.

export 와 import 는 아직 많은 웹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다. babel 등의 트랜스파일러를 사용하여 ES5 코드로 바꾸어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므로 주의하자.

마무리

사실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를 제외하고도 ES6에서 새롭게 등장한 문법과 기능등은 존재한다. 하지만 위에 서술한 것들만 제대로 숙지하고 있어도 ES6 로의 진입 장벽은 많이 낮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Hudi
꾸준히, 의미있는 학습을 기록하기 위한 공간입니다.